2012/12 47

조우성변호사의 '을을 위한 행진곡' - 계약분쟁 대응편(목차)

제목 : 을을 위한 행진곡 – 계약분쟁 대응편(목차) 부제 : 협상력과 법률지식을 활용하여 계약분쟁 대처하기 1부 : 계약위반의 징후와 내용증명 발송 ▪ 내용증명의 유용성 - 상대방이 계약을 위반하면 일단 내용증명을 보내는 것이 유리한가요?▪ 굿가이 뱃가이 전술 - 상대회사가 ‘갑’이라 내용증명을 보내기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좋은 방안이 없을까요?▪ 구두약정의 구속성 - 솔직히 계약서에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대방이 약속한 부분이 있었는데, 이를 지키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도 상대방의 계약위반을 주장할 수 있는지요?▪ 내용증명의 특장점 - 내용증명을 보내는 것과 그냥 등기를 보내는 것, 이메일을 보내는 것은 서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 통보서 기본 서식 - 상대방의 계약위반을 이유로 통보서를 보내려고 ..

Must Know/계약법 2012.12.30

조우성변호사의 '을을 위한 행진곡' - 계약서 작성편(목차)

제목 : '조변호사의 을을 위한 행진곡'- 계약서 작성편 부제 : 협상력과 법률지식을 활용하여 유리한 계약서 작성하기 1부 : 계약서 작성시 반드시 알아야 할 협상지식 ▪ 나의 목표를 정확히 하라▪ 상대방의 속마음(Intereest)을 파악하라▪ 어디 쟁점이 ‘단가’뿐이겠습니까? 머리를 맞대봅시다. - 이슈메이킹 전술▪ 언제나 창조적 대안을 만들 수 있음을 잊지 말라 – Creative Option의 중요성▪ BATNA 없는 ‘갑’은 오히려 ‘을’이다 – BATNA의 중요성▪ 협상에서 양보는 막판에 이루어진다 – 협상시한 파악의 중요성 ▪ 내 주장을 뒷받침할 권위를 찾아라 – 권위의 법칙▪ 다른 사람들도 이렇게 하는데요? - 사회적 증거의 법칙▪ 이 부분은 제가 양보하겠습니다. 대신 제게 뭘 주시겠습니까..

Must Know/계약법 2012.12.30

조우성 변호사의 '나의 책건문'(책에서 건진 문장) 목차

나의 책건문(책에서 건진 문장)부제 : 나의 에토스를 높여준 문장과 그에 대한 느낌 1부 : 에토스에 대한 이해 2부 : Empathy [1] 공감능력의 중요함 1. 타인에 대한 존중이 가진 힘#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스튜어트 다이아몬드 저) 중에서 2. 미래의 비즈니스에서는 장기적인 유대관계가 필요하다.# 소유의 종말(제러미 리프킨 저) 중에서 3. 윤리의 문제 역시 공감과 감수성의 문제다.# 우리가 섬세해졌을 때 알게 되는 것들 (김범진 저) 중에서 [2] 타인의 관점을 파악할 줄 아는 능력, 역지사지 1. 너무도 다른 남녀의 화법#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존 그레이 저) 중에서 2. 성공의 정의 한 가지# 습관은 배신하지 않는다(공병호 저) 중에서 [3] 공감의 다양한 기법, ..

조우성변호사의 '나를 세우는 ETHOS' 목차

제목 : 나를 세우는 ETHOS 1부 : ETHOS – Why, What, How 1. 아리스토텔레스의 ETHOS론 2. ETHOS 구성요소의 분석 - Empathy - THoughtful - Objective - Self Improving 2부 : Empathy 1. 공감이 중요한 이유 - 성공은 나를 아는 사람으로부터 온다(아이아코카) - 짐콜린즈의 성공의 의미 - 존듀이,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 : 존중받고 싶은 욕구 - 논리만으로는 설득이 안된다 - 엮여있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lligo ergo sum) 2. 타인의 관점을 파악하라 - 100인 100색 - 유사수신행위 사례 : 내 기준으로 판단, 속단할 수 없다는 점 - 스티븐 코비 사례(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님) - 내 주위에 누가..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협상 목차

제목 : 사람의 마음을 얻는 에토스 협상 (부제 – 소송전문 로펌 변호사가 전하는 협상 노하우) 1. 협상력 증대의 비법 - 협상력 증강공식 ▷ 이론설명 1) 협상은 대립되는 당사자의 투쟁과정일까? 2) 협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발생한다. 3) 협상력은 타고난 역량인가, 아니면 과학인가? 4) 협상력 증강공식을 만들게 된 계기, 과정 ▷ 사례 1) 협상의 달인인 김과장이 마냥 부러운 박과장에게 필요한 것은? 2) 협상의 다양한 Skill만으로 협상에 성공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박과장 3) 협상을 앞두고 만반의 논리를 준비 중인 박과장이 빠뜨리고 있는 것은? 2. 상대방의 요구(Position)와 욕구(Interest)를 구별하라. ▷ 이론설명 1) 요구와 욕구의 차이 2) 고객은 자신의 욕구를 설명하는 ..

협상 2012.12.29

조우성변호사의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사례분석(6) 서희와 강동 6주

조우성변호사의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사례분석(6) 서희와 강동 6주 협상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서희의 거란 협상. 살펴봅시다. [배경지식] 고려 성종 말년인 993년 거란의 침입. 소손녕 휘하 대군을 몰고 옴. 고려는 항전파와 화친파로 나뉨. 화친파 주장 : 서경(평양) 이북 땅을 떼어주고 거란에 항복하자! 항전파 주장 : 결사항전! 이 상황에서 서희 장군은 수행원 몇 명만 데리고 소손녕 만나서 맞짱. 거란군은 자진철군. 나아가 고구려 옛땅이던 강동 6주까지 돌려 받음,. [서희 장군의 협상 성공 요인] 1. 정확한 거란의 침공의중 파악 - 송나라 출별시 고려의 배후 기습 우려차단 - 거란이 고려 침공한 의도는 고려땅 차지하기 위함 아님. - 당시 거란과 송나라는 영토분쟁으로 전쟁직전. - 즉 거란의 궁..

조우성변호사의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Form 소개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Form 소개 마이클포터 교수의 경쟁전략 분석모델인 '다이아몬드 모델'을 '협상'에 적용시킨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을 완성했습니다. 그 동안 협상을 위해서는 I (Interest ; 상대의 이해관계에 집중하라), S(Skill ; 다양한 협상전략을 구사하라), G(Good-Will ; 선의와 배려), 이 세가지가 중요하다는 ISG 협상론을 강의하고 다녔는데, ISG 협상론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분석 및 전략수립 모델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마이클포터 교수로부터 훌륭한 영감을 얻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협상사례를 다이아몬드 모델을 통해 풀어가보겠습니다. ●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기본 Form ●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응용 사례 Form

조우성변호사의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

협상을 분석하고 준비함에 있어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모델이 필요했습니다. 그 동안 여러가지 기획을 하던 중, 우연히 하버드 대학교 마이클 포터 교수의 경쟁전략 분석모델인 '다이아몬드 모델'을 접한 후, 그 내용을 협상에 접목시키는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오늘에야 전체적인 그림이 완성되었습니다. 앞으로 이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협상 사례를 분석해 볼 것이며, 그 과정에서 '협상 성공 요인'을 도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협상 다이아몬드 모델이 보다 나은 협상 결과를 얻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사고실험

아인슈타인, 스티브 잡스, 그리고 사고실험1.요즘 나를 붙잡고 있는 개념 하나가 바로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이다.그 의미는 '머릿속에서 생각으로 진행하는 실험으로서, 실험에 필요한 장치와 조건을 단순하게 가정한 후 이론을 바탕으로 일어날 현상을 예측하는 것'인데, 이러한 사고실험은 실제로 만들 수 없는 장치나 조건을 가지고 실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이러한 '사고실험'의 대표적 주인공이 바로 아인슈타인이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상대성이론을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주인공이 세상을 바라볼 때 세상은 어떻게 보일까'라는 상상 속에서 만들어 냈다.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을 만들어 낸 1910년대는 실험장비수준이 지금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열악했다. 어마어마한 빛의 속도로 움..

관중과 포숙의 공사 구분

알다시피 춘추시대의 큰 정치가 관중(管仲)은 절친 포숙(鮑叔)의 한없는 양보 덕분에 제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물론 관중은 그 자신의 탁월한 식견과 재능으로 제나라를 부국강병으로 이끌었다. 관포지교(管鮑之交)는 이 두 사람의 우정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포숙의 위대한 팔로십(Followship)이 한 나라를 어떻게 부강하게 만드는가에 대한 대하 사극과 같다. 관중은 무려 40여 년 동안 재상 자리에 있었다. 그런데도 관중은 병이 들어 죽을 때도 자신의 후임으로 멀쩡하게 살아 있는 포숙을 추천하지 않았다. 소인배들이 포숙에게 관중의 처사에 불만을 터트리며 이간질했다. 그러나 포숙은 “내가 사람 하나는 참으로 잘 보았다. 내가 그러라고 그 사람을 그 자리에 추천한 것이다”라며 소인배들을 물리쳤다. 이 얼마나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