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body language 47

배꼽의 방향으로 친근감을 추측한다

-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 그 사람의 ‘배꼽’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만 제대로 파악해도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 제임스(W. T. James)가 수행한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혀졌다. 사진을 본 응답자들이 사진 속 인물들의 다양한 포즈에서 대략 350여 가지 의미를 구분해 내는 실험을 통해 제임스는 ‘몸통의 방향’이 한 사람의 관심 정도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임을 발견했다. - 제임스는 배꼽의 방향성을 접근(관심)과 회피(무관심), 팽창(강한 관심과 확신)과 수축(불안과 약간의 흥미 감소)이라는 네 가지 중요 그룹으로 구분함.- 30년 후 앨버트 메라비언(Albert Mehrabian) 박사는 제임스의 연구를 더욱 심화하여 배꼽의 방향이 한 사람의 의도를 읽어내는..

조우성 변호사의 비즈니스 바디랭귀지 : 중요한 '배꼽의 위치'

배꼽이야말로 가장 정확한 거짓말 탐지기-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 그 사람의 ‘배꼽’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만 제대로 파악해도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 제임스(W. T. James)가 수행한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혀졌다. 사진을 본 응답자들이 사진 속 인물들의 다양한 포즈에서 대략 350여 가지 의미를 구분해 내는 실험을 통해 제임스는 ‘몸통의 방향’이 한 사람의 관심 정도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임을 발견했다. - 제임스는 배꼽의 방향성을 접근(관심)과 회피(무관심), 팽창(강한 관심과 확신)과 수축(불안과 약간의 흥미 감소)이라는 네 가지 중요 그룹으로 구분함. - 30년 후 앨버트 메라비언(Albert Mehrabian) 박사는 제임스의 연구를 더욱 심화하여 ..

잘못된 악수의 예

위 사진은 선거에 출마한 정치인이 유권자에게 지지를 부탁하는 장면이다.이 악수 장면에서 잘못된 점은 무엇일까? 그 잘못된 점은 바로, 정치인이 자신의 왼손으로 유권자의 오른쪽 팔목 윗부분 혹은 어깨를 잡고(grip) 있는 부분이다.바디랭귀지 전문가들은 이러한 행동은 an example of an excessive display of dominance and alpha behavior, 즉 상대방으로 하여금 권위적이면서도 강압적인 행위로 느껴지게 한다는 것이다. 유권자로서는 정확히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나, 왠지 후보자가 권위적으로 자신을 대한다는 인상을 무의식적으로 받게 된다는 것이다. 손바닥을 서로 맞잡는 것이 아닌 아래와 같은 악수들은 하나 같이상대방에게 지배력을 행사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막역한..

[BL] 초조한 느낌의 손

초조해 지거나 불안해 질 때 뇌의 변연계는 우리 스스로를 애써 안정시키려 한다. 뇌가 우리를 정상상태로 복구하려 시도할 때, 즉 편안하게 해주려(진정시키려) 할 때는 몸의 협조를 얻는다. 흔히 적응자(adapters)로 불리는 행동인데,대부분 신체 부위를 만지거나 두드리거나쓰다듬는 형식으로 표출된다. 이것은 즉각 읽을 수 있는 외적 신호이므로 상황을 통해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다. 스트레스 받는 사람이 흔히 목을 만지거나 얼굴을 쓰다듬고 머리카락을 만지는 행위. 이러한 행동은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뇌가 자신을 진정시켜 달라는 메시지를 보내면 손은 즉각 반응해 편안함을 느끼는 행동을 하게 된다. 때로는 입안에서 혀로 볼 안쪽을 문지르거나 입술을 핥아 진정하기도 하고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 볼을 부풀린..

[BL] 파워 제스쳐 - 첨탑모양의 손

파워 제스쳐 - 첨탑모양의 손 1. 스피커들이 자주 사용하는 첨탑(steeple)모양 ° 첨탑모양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www.jowoosung.com/book/book_view.asp?number=380&category_number=1 ° 두 손의 손가락 끝을 붙여 산처럼 뾰족하게 만드는 첨탑 자세는, ‘내가 모든 정보를 꿰고 있다’는 무의식적인 암시를 주는 데 아주 훌륭한 방법이다. 이 자세를 자신감 넘치는 바디랭귀지나 발언과 함께 사용하면 매우 강한 신념과 확실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 ° 이 자세는 연설 도중 특별히 힘을 실어 중요한 사항을 지적할 때 사용하면 가장 유용하다. ° 이 자세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부적절한 시점에 사용하면 ‘혼자만 잘난’ 사람이거나 이기주의자라는 인상을 주기 쉽다. ..

대화를 서둘러 끝내야 할 시점 - 출발자 자세

대화를 서둘러 끝내야 할 시점 - 다리를 보고 판단하는 법 - 소위 ‘출발자 자세’(starter's position)라는 것이 있다. - 현재 위치에서 떠나고 싶어하는 다리의 의도된 신호로 가장 유명한 것은, 양손을 두 무릎 위에 얹어 무릎을 감싸 쥐고 있는 것이다. 이 자세는 떠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명확한 신호다. - 특히 양손을 무릎 위에 얹고 몸통을 약간 앞으로 기울이거나 몸의 아랫부분을 의자 가장자리로 옮긴다면, 이 때는 상대방이 이 자리가 불편하며 얼른 떠나고 싶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면 된다. - 상대방이 이러한 행동을 보일 때, 특히 그가 상급자일 때는 서둘러 대화를 마무리 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라

[BL] 상대방이 불편해 하는지? 다리를 보라

상대방이 불편해 하는지? - 다리를 보라 - 인간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향해 방향을 돌리는 경향이 있다. 이 정보는 다른 사람이 당신을 만나 기쁜지, 아니면 당신이 그들을 두고 떠나기를 원하는지 알게 해 준다. - 당신이 어떤 사람들에게 다가가면서 “안녕하세요?”라고 말하고는 끼어들고 싶어한다. 이 때 상대방들의 반응을 보라. - 만약 그들의 발이 몸과 함께 당신을 받아들이면 진심으로 환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발을 움직이지 않고 인사하기 위해 엉덩이만 약간 돌린다면 당신이 끼어드는 걸 원치않는다는 의미다. - 사람은 좋아하지 않거나 자신과 맞지 않는 것을 피해 돌아서는 경향이 있다. - 법정에서의 행동을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배심원들이 증인을 좋아하지 않을 경우 발을 가장 가까운 출구 쪽을 향..

[BL] 거짓말과 목의 상관관계

거짓말과 목의 상관관계 ° 바디랭귀지 전문가들은 ‘거짓말이 의심된다면 상대방의 목을 보라’라고 조언한다. ° 바디랭귀지를 연구하면 변연계 반응이 표출되는 때를 발견하게 되는데, 특히 부정적이거나 위협적인 경험을 진정시키는 행동이 뒤따라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흔히 ‘적응자(adapters)'로 불리는 이런 행동은 뭔가 불쾌하거나 귀찮은 것을 경험한 뒤에 우리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 뇌가 우리를 정상 상태로 복구하려 시도할 때, 즉 편안하게 해주려(진정시키려) 할 때에는 몸의 협조를 얻는다. 이것은 즉각 읽을 수 있는 외적인 신호이므로 상황을 통해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다. ° 이처럼 진정시키는 행동은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독특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와 개는 진정시키기 위해 자기 스스..

바디랭귀지에 대한 잘못된 오해들

바디랭귀지에 대한 6가지 잘못된 오해 15년간 미법무부 소속 연방집행관으로 근무하면서 수천명의 법집행관에게 보디랭귀지 해석기술을 가르쳤고, 워싱턴 DC에 있는 바디랭귀지 연구소(Body Language Institute)의 CEO이자 “You say more than you think"의 저자인 ”재닌 드라이버“는 바디랭귀지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잘못 알려진 내용으로 다음 사항들을 제시한다. 1. 바디랭귀지 신호를 읽으면 마음을 읽을 수 있다? TV나 잡지를 보면 정치인이나 대중 스타의 순간적인 바디랭귀지를 분석한 기사가 흔히 나온다. 하지만 이는 전혀 넌센스다. 사진 한 장을 보고 바디랭귀지 분석을 하려면 최소한 같은 사람의 사진을 20장 이상은 봐야 한다.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링컨 기념관 ..

바디랭귀지 - 이상한 키스

여러분들은 이 키스 장면에서 두 사람의 심리상태가 어떤지 느낌이 오는지? 우선 키스를 하는 중에, 남자의 눈은 감겨져 있지 않다. 바디랭귀지 전문가들은 키스를 함에 있어 눈이 감겨져 있지 읺는 것은, 적어도 키스하는 그 순간의 ‘가장 중요한 감정’이 ‘진정한 애정’이 아니라는 아주 강력한 징표라고 말한다. 더구나 키스하면서 눈을 감지 않는 행동이 계속 반복되는 커플이 있다면, 이는 처음부터 애정이 결핍된 상황으로 보고 있다. 이 사진의 주인공은 모나코의 알베르(알버트) 왕자와 신부인 샤를린의 결혼식 장면이다. 이 결혼식 전에 난리가 났었다. 즉 알베르 왕자의 문란한 사생활이 보도가 되었는데, 미국 출신 부동산 중개인, 전직 프랑스 스튜어디스와 염문을 뿌리면서 그 사이에 각각 9세 딸과 6세 아들을 두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