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05

[BL] 배꼽은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배꼽이야말로 가장 정확한 거짓말 탐지기 -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 그 사람의 ‘배꼽’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만 제대로 파악해도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 제임스(W. T. James)가 수행한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혀졌다. 사진을 본 응답자들이 사진 속 인물들의 다양한 포즈에서 대략 350여 가지 의미를 구분해 내는 실험을 통해 제임스는 ‘몸통의 방향’이 한 사람의 관심 정도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임을 발견했다. - 제임스는 배꼽의 방향성을 접근(관심)과 회피(무관심), 팽창(강한 관심과 확신)과 수축(불안과 약간의 흥미 감소)이라는 네 가지 중요 그룹으로 구분함. - 30년 후 앨버트 메라비언(Albert Mehrabian) 박사는 제임스의 연구를 더욱 심화하여..

[BL] 지배적인 손 놀림 모양

자, 테니스 게임이 끝났다. 사진만으로 판단해 보자. 누가 이겼을까? 나아가 이 두 사람이 정치인 혹은 비즈니스 맨이라고 가정하자. 누가 더 파워가 있어 보이는가? 아마도 쉽게 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위 사진은 흑인 선수가 승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흑인 선수가 보여주는 손 제스쳐는 전형적인 지배 몸짓(dominant gesture) 이다. 한 손은 상대방의 등 뒤로, 다른 한 손은 상대방의 몸통 혹은 어깨나 팔을 짚는 모습. 따라서 만약 대등한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자세를 취한다면 상대방은 이를 불쾌하게 여길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BL] 표정의 지속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

우리는 지난 컬럼(http://srmin.net/5090)을 통해 진짜 미소와 가짜 미소를 구별짓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여기서 하나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상대방이 순간적으로 ‘진짜 미소’와 같은 표정을 보였더라도 1-2초 내에 다시 원래의 표정을 돌아가 버린다면, 이는 ‘진짜 미소’로 단정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금방 원래 표정으로 회복된다면 이는 가짜 미소일 확률이 크다. 위에 보이는 사진의 ‘나탈리 포트만’의 표정은 이론적으로 볼 때 ‘진짜 미소’이다. 하지만 위 사진은 정지된 사진(still-cut)이므로, 과연 포트만이 저 표정을 몇 초 정도 지속했는지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단순히 정지된 사진만으로 진짜 미소와 가짜 미소를 속단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BL] 허리에 손 올리기

카메론 디아즈가 전 애인인 저스틴 팀버레이크와 마주 서 있다. 여기서 카메론은 양손으로 허리를 짚고 있는데(Arms akimbo), 중요한 것은 엄지 손가락이 앞으로 나가 있다는 것이다(thumbs forward). 이처럼 양손으로 허리를 짚으면서 엄지가 앞으로 나가 있을 경우는 상대방에 대해 지지하는 마음, 지켜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마음상태로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보통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을 때 이를 지켜보는 엄마들이 즐겨 취하는 자세이기도 한다. 반면에 양손으로 허리를 짚으면서도 엄지가 뒤로 향하는 자세는 방어적이며, 때로는 공격적인 sign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대단히 희한한 자세의 사진이 하나 있다. 베룰로스코니 이탈리아 총리와 염문에 휩싸인 모델의 사진인데, 양손의 엄지..

[BL] 자신감이 없어질 때의 손

1> 연구결과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정직한 사람보다 접촉이 적고 팔과 다리를 적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변연계 반응과 일치한다. 즉, 위협과 마주쳤을 때(예를 들면 거짓말이 간파된 경우)는 다른 사람들의 주의를 끌지 않기 위해 덜 움직이거나 정지하게 된다.. 이런 행동은 대화하는 도중에 자주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거짓말을 하는 동안에는 팔이 억제되고 진실을 말할 때는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2> FBI 수사관 조 내버로의 경험담. “한번은 플로리다 주 탬파에 있는 월마트 주차장에서 여섯 살 난 아들이 유괴당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소년의 엄마가 상황을 설명할 때 관찰실에서 그녀를 지켜본 나는 조사관들에게 그녀의 이야기를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엄마의 태도가 너무 정적이고..

[BL] 흔들리는 손

‘흔들리는 손’1> 손과 손가락을 통제하는 근육은 매우 정밀하고 정교함,. 변연계가 각성할 경우 인간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긴장하게 된다. 이 때 신경전달물질과 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이 분출되고 이는 통제할 수 없는 손의 떨림을 야기한다. 어떤 부정적 결과를 듣고 보거나 생각할 때도 손이 떨린다. 2> FBI 수사관 조 내버로의 경험담 어떤 스파이 활동을 수사중. 그 사건의 핵심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인터뷰 중. 그러나 사실 그가 그 사건에 관련되어 있다는 실제 단서는 없었음. 그 사건에는 어떤 목격자나 실마리도 없었고 단지 누군가가 관련되어 있을 거라는 막연한 느낌만 갖고 있음. 인터뷰를 하는 동안 용의자는 담배에 불을 붙였고, 나는 그 사건과 관련돼 있을 거라고 예상되는 사람들의 이름을 거론함. 그런데 ..

[BL] 스피치나 PT 때 손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스피치나 PT 때 손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1. 손의 중요성 ° 손 움직임 중에서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뇌가 지시하지 않는 것은 없다. ° 인간은 언어를 습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천년의 진화를 거친 뇌는 여전히 정서, 생각, 느낌을 전달하는 데 손을 끌어들이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 다른 사람의 손만 여러분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손 움직임도 다른 사람이 여러분을 인지하는 데 영향을 준다. ° 인간은 생존하기 위해 손을 재빨리 이용해 상대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또는 그에게 악의가 있는지(무기를 소지하고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 이렇듯 뇌는 본능적으로 손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엔터테이너, 마술사, 그리고 위대한 연설가는 손을 이용해 프리젠테이션의 열기를 ..

[BL] 명화에서 배우는 가짜 미소

자, 위의 그림에서 웃고 있는 여인의 웃음은 어떤 웃음일까요? 미소에는 ‘진정으로 기뻐서 웃는 미소’와 ‘건성으로 웃는 미소’, 나아가 ‘만든 미소’ 등으로 구분이 됩니다. 위 그림은 웃음의 초상을 가장 많이 그린 화가 중 한 명인 네덜란드의 프란스 할스(Frans Hals, 1580~1666)의 “부인의 초상”이란 작품입니다. 여기서 보여지는 웃음이 바로 전형적인 ‘건성 웃음’입니다. 즉 입주위에만 약간의 미소가 감돌고 있으며 눈과 그 주 변에는 웃음의 표정이 전혀 없답니다. 근육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큰 광대근만이 수축되었으며 눈둘레근은 작용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상대가 이런 웃음을 보일 경우, 이는 지극히 예의적인 호의를 표시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BL] 오므린 입술

바디랭귀지 : 오므린 입술 ° 다른 누군가와 이야기하는 동안 입술을 오므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일단 대화 상대방이 입술을 오므리는 것을 발견한다면, 그 이유가 ‘의견의 불일치’때문인지, 아니면 ‘그가 대안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인지’ 둘 중 하나일 경우가 높다. 따라서 입술 외의 다른 징표를 통해서 상대방의 진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 법정에서는 ‘상대방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제스쳐로 주로 쓰인다. 즉, 내가 원고 변호사라면, 피고측 변호사가 주장을 하고 있을 때 의도적으로 입술을 오므리는 제스쳐를 쓰면서 소극적인 반대를 표시한다. ° 특히 변호사가 자신의 입장을 표명할 때 판사가 입을 오므린다면 변호사는 판사가 입을 오므린 부분의 주장에 대해서 판사를 더 설득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

[BL] 뒤집힌 U자 입

엄청난 괴로움과 불만의 표시 - 뒤집한 U자 입 ° 바디랭귀지 전문가들이 ‘가장 확실하면서도 정확한 괴로움과 불만의 징표’로 꼽는 것이 바로 ‘뒤집한 U자 입’이다. °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입술이 점점 사라지다가 극단적으로 가면 입이 뒤집힌 U자로 형성된다. ° 거짓으로 화가 난 듯한 모습을 하면서 입술을 사라지게 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입술의 모양은 일직선이 된다. ° 하지만 일부러 입술을 뒤집어지는 U자로 만들기는 정말 힘들다. 왜냐하면 정말로 괴롭거나 몹시 슬프지 않은 상태에서는 흉내 내기 힘든 변연계 반응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