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BL] 초조한 느낌의 손

초조해 지거나 불안해 질 때 뇌의 변연계는 우리 스스로를 애써 안정시키려 한다. 뇌가 우리를 정상상태로 복구하려 시도할 때, 즉 편안하게 해주려(진정시키려) 할 때는 몸의 협조를 얻는다. 흔히 적응자(adapters)로 불리는 행동인데,대부분 신체 부위를 만지거나 두드리거나쓰다듬는 형식으로 표출된다. 이것은 즉각 읽을 수 있는 외적 신호이므로 상황을 통해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다. 스트레스 받는 사람이 흔히 목을 만지거나 얼굴을 쓰다듬고 머리카락을 만지는 행위. 이러한 행동은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뇌가 자신을 진정시켜 달라는 메시지를 보내면 손은 즉각 반응해 편안함을 느끼는 행동을 하게 된다. 때로는 입안에서 혀로 볼 안쪽을 문지르거나 입술을 핥아 진정하기도 하고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 볼을 부풀린..

글은 머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손에서 나온다

'글'은 (1) 사전에 내 뇌 속에 완벽하게 정리되어 있다가 술술 풀어져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2) 사전에 내 뇌 속에는 파편으로만 존재하고 있다가, 막상 글을 쓰는 과정에서 정리되고 발전되는 경우도 있다. (1)을 기준으로 글을 쓰려고 하면 쉽게 써지지 않는다. '내가 써야 할 내용이 사전에 완벽하게 머리속에 정리되어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기에. 하지만 (2)를 기준으로 글을 쓸려고 마음먹으면 별 부담이 없다. 산책을 나간다는 마음으로, 신발 고쳐 신고 무작정 떠나보는거다(키보드의 자판을 두드린다). 결국 "쓰는 행위"는 "생각하기"의 또 다른 이름이다. "쓰기"를 두려워하지 말아야겠다. 쓰기 시작하다보면 어딘가 도착해 있을테니... 그 목적지가 어느 곳이 될지 궁금하다.

[BL] 허리에 손 올리기

카메론 디아즈가 전 애인인 저스틴 팀버레이크와 마주 서 있다. 여기서 카메론은 양손으로 허리를 짚고 있는데(Arms akimbo), 중요한 것은 엄지 손가락이 앞으로 나가 있다는 것이다(thumbs forward). 이처럼 양손으로 허리를 짚으면서 엄지가 앞으로 나가 있을 경우는 상대방에 대해 지지하는 마음, 지켜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마음상태로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보통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을 때 이를 지켜보는 엄마들이 즐겨 취하는 자세이기도 한다. 반면에 양손으로 허리를 짚으면서도 엄지가 뒤로 향하는 자세는 방어적이며, 때로는 공격적인 sign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대단히 희한한 자세의 사진이 하나 있다. 베룰로스코니 이탈리아 총리와 염문에 휩싸인 모델의 사진인데, 양손의 엄지..

[BL] 자신감이 없어질 때의 손

1> 연구결과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정직한 사람보다 접촉이 적고 팔과 다리를 적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변연계 반응과 일치한다. 즉, 위협과 마주쳤을 때(예를 들면 거짓말이 간파된 경우)는 다른 사람들의 주의를 끌지 않기 위해 덜 움직이거나 정지하게 된다.. 이런 행동은 대화하는 도중에 자주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거짓말을 하는 동안에는 팔이 억제되고 진실을 말할 때는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2> FBI 수사관 조 내버로의 경험담. “한번은 플로리다 주 탬파에 있는 월마트 주차장에서 여섯 살 난 아들이 유괴당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소년의 엄마가 상황을 설명할 때 관찰실에서 그녀를 지켜본 나는 조사관들에게 그녀의 이야기를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엄마의 태도가 너무 정적이고..

[BL] 흔들리는 손

‘흔들리는 손’1> 손과 손가락을 통제하는 근육은 매우 정밀하고 정교함,. 변연계가 각성할 경우 인간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긴장하게 된다. 이 때 신경전달물질과 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이 분출되고 이는 통제할 수 없는 손의 떨림을 야기한다. 어떤 부정적 결과를 듣고 보거나 생각할 때도 손이 떨린다. 2> FBI 수사관 조 내버로의 경험담 어떤 스파이 활동을 수사중. 그 사건의 핵심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인터뷰 중. 그러나 사실 그가 그 사건에 관련되어 있다는 실제 단서는 없었음. 그 사건에는 어떤 목격자나 실마리도 없었고 단지 누군가가 관련되어 있을 거라는 막연한 느낌만 갖고 있음. 인터뷰를 하는 동안 용의자는 담배에 불을 붙였고, 나는 그 사건과 관련돼 있을 거라고 예상되는 사람들의 이름을 거론함. 그런데 ..

[BL] 스피치나 PT 때 손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스피치나 PT 때 손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1. 손의 중요성 ° 손 움직임 중에서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뇌가 지시하지 않는 것은 없다. ° 인간은 언어를 습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천년의 진화를 거친 뇌는 여전히 정서, 생각, 느낌을 전달하는 데 손을 끌어들이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 다른 사람의 손만 여러분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손 움직임도 다른 사람이 여러분을 인지하는 데 영향을 준다. ° 인간은 생존하기 위해 손을 재빨리 이용해 상대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또는 그에게 악의가 있는지(무기를 소지하고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 이렇듯 뇌는 본능적으로 손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엔터테이너, 마술사, 그리고 위대한 연설가는 손을 이용해 프리젠테이션의 열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