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물고기가 낚시에 걸렸을 때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물고기가 낚시에 걸렸을 때 

보통은 줄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낚시꾼은 줄을 풀었다 당겼다 하면서

물고기가 지쳐 쉽게 끌려올 때까지 그 게임을 즐기는 것이다.
 

그러나 가끔씩 나타나는

영리한 물고기는 이 게임에 말려들지 않는다.

영리한 물고기는 줄을 팽팽하게 만들지 않고

낚싯대 쪽으로 헤엄쳐서 다가오며

낚싯바늘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는다.
 


나는 그런 영리한 물고기가 되는 법을 배우고 있는 것이다.

 

현실에 저항하다 보면 지쳐 쓰러질 것이고

내가 원하는 미래를 창조할 기회를 잃게 될 것이다.

현실을 솔직히 바라보고,
 

긴장이나 불편한 기분을 받아들이고,

비전에 초점을 맞추면
 

그때부터 궁극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나의 현실은 나의 비전을 향해서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 켄 블랜챠드 作 <비전으로 가슴을 뛰게 하라> 중에서 -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사슴을 쫓는 자는 산을 보지 못한다.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逐鹿者 不見山(축록자 불견산)


의미 : 사슴을 좇는 자는 산을 보지 못한다.



한나라 무제때 회남왕 유안(劉安)은 도가사상을 바탕으로 회남자(淮南子) 라는 책을 저술했다. 유교, 도교 등 각종 학설이 수록된 이 책에 이 구절이 나온다.


'사슴을 좇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하고, 돈을 움켜쥐는 자는 사람을 보지 못한다.

짐승을  좇는 사람은 눈이 있어도 태산을 보지 못한다. 바깥 사물에 욕심을 내면 마음의 총명함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사슴을 좇는 수람은 토끼를 돌아다보지 않고 천금의 물건을 흥정하는 사람은 몇 돈 몇 냥의 값을 가지고 다투지 않는다.'

우리는 이처럼 어딘가에 몰두하고 있으면, 놓치게 되는 것이 많다.
바로 이 점을 경계해야 한다.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손자병법의 '지피지기'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상대방을 알고 파악하는 것이다.

상대방의 정보, 강점, 약점, 시간적인 제약, personality 이 모든 것들이
협상에서는 중요하다.

우리는 흔히 
"손자병법에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표현이 있다"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손자병법에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은 없다.

원문은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즉,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의미다.


손자가 말하는 지피지기는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다. 다가오는 상황은 마치 안개 속과 같아서 어떤 변수에 의해서 어떤 위기가 올지 모르므로 충분히 분석하고 대비해야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손자병법에서는 "승리"보다는 "피해를 줄이면서 위험에 빠지지 않는 것"을 더 상위가치에 둔다.
백번 싸워서 백번 다 이기더라도 조직원들이 모두 죽고 나 혼자만 승리한다면 진정한 승리가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 

어떻든, 이번 기회에 손자병볍에서 이 부분에 해당하는 정확한 원문을 알아보도록 하자.

--------------------------------------------------------------------------------
知彼知己 百戰不殆

적과 아군의 실정을 잘 비교,
검토한 후에 승산이 있을 때 싸운다면
백 번을 싸워도 결코 위태롭지 않다.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적의 실정을 모른 채 아군의 전력만 알고
싸운다면 승패의 확률은 반반이다.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敗

적의 실정은 물론 아군의 전력까지 모르고
싸운다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패한다.

《손자(孫子)》〈모공편(謀攻篇)〉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내가 나를 위하는 것, 남이 나를 위하는 것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인용문>

공의휴는 노나라 재상으로 생선을 즐겨 먹었다. 온나라가 모두 앞다투어 생선을 사서 바쳤다. 그러나 공의휴는 이를 받지 않았다.

그 아우가 충고하여 말하기를 당신은 생선을 즐겨 드시면서 받지 않으시니 왜 그렇습니까?라고 하였다.

그는 대답하기를

오로지 생선을 즐겨 먹기 때문에 받지 않는 것이다.


만약에 생선을 받는다면 반드시 남에게 낮추는 태도를 가지게 될 것이다.

남에게 낮추는 태도를 가지게 되면 앞으로 법을 굽히게 될 것이다.

법을 굽히게 되면 재상 자리를 면직당하게 될 것이다.


비록 생선 먹기를 즐긴다 하더라도 이렇게 되면 분명 나에게 생선을 보내줄 리가 없으며 나 또한 생선을 스스로 구할 수 없을 것이다.


만약에 생선을 받지 않는다면 재상자리를 면직당하지 않을 것이며, 비록 생선 먹기를 즐긴다 하더라도 내가 능히 오래도록 생선을 스스로 구할 수 있다

라고 하였다.

이것은 도대체 남을 믿는 것이 자신을 믿는 것만 같지 못함을 밝힌 것이다.

 

남이 자기를 위해준다는 것이 자기가 자신을 위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

 


 



<나의 생각>

 

윤리경영에 관한 강의를 하고 다니는 나로서는눈이 번쩍 뜨이는사례이다.


결국 자기 자신을 지키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더 오래가고 중요하다결론.

어찌 2000년 전에 이런 이야기를 했을꼬.


놀라울 따름이다.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 인용문


세상에는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변해야 할 것’과 ‘변해서는 안될 것’도 있다.

동서남북은 내가 어디에 있든 변하지 않고, 변할 수도 없다.

하지만 상하좌우는 내가 선 위치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가변적이다.

  

동서남북을 상하좌우로 알 때 문제가 생긴다.

상하좌우를 동서남북으로 착각해도 비극이다.


공부를 함에 있어 바탕을 다지는 일은 동서남북을 배우는 일이다.

현실에 적용하고 실제에 응용하는 것은 상하좌우의 분별과 관련된다. 

상하좌우만 알면 방향을 잃었을 때 집을 못찾아가지만, 

동서남북을 알면 길을 잃고 헤매지 않는다.


-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중에서-


 


● 나의 생각

 

‘동서남북’을 ‘상수’(常數)로, ‘상하좌우’를 ‘변수’(變數)로 치환해 보면 이해가 될 듯 하다.

맞는 말씀이다.

우리는 ‘변해서는 안될 것들’과 ‘오히려 변해야만 하는 것들’을 혼동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내 인생에 있어서 변하지 말아야 할 ‘상수’가 무엇인지

나아가 내 인생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신축적으로 변해야만 할 ‘변수’가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된다.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집중'과 '선택'의 중요성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우리는 집중과 선택이 중요하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다음 두가지 이야기를 들어 보시죠.


1>

- 박웅현,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중에서 -

“제가 선택과 집중에 대한 설명을 할 때 팁을 주겠다고 하면서 자주 써먹는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100명의 부모들을 강당에 모아 놓고 10분씩 자식자랑을 한다고 해 봅시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하고 싶은 말을 다 쏟아냅니다. 자식의 모든 점이 사랑스러운 부모에게 할 말이 얼마나 많겠습니까?

그런데 한 부모가 ‘우리 애는 눈이 예쁘답니다.’로 시작해서는 10분 내내 눈 이야기만 했습니다. 

그 아이는 그 날로 그 학교의 유명한 학생이 되었죠. 이처럼 선택과 집중만이 어떤 것을 특별하게 해 줍니다.


2>

수적천석 [水滴穿石] 

작은 물방울이라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결국엔 돌에 구멍을 뚫는다는 뜻.

작은 노력이라도 끊임없이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말





3>

우리는 항상 ‘바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삽니다.

하지만 과연 ‘무엇 때문에’ 바쁜지. 그리고 나의 그 행동들이 하나의 방향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해봐야 합니다.

 

오늘 나의 행위 하나 하나가, 일정한 정향성(定向性)을 가질 때

그 행위들의 축적은 엄청난 결과를 나을 것입니다.

 

‘선택’과 ‘집중’.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특히 30-40대의 장년층에겐!


버나드 쇼의 어록에는 정말 대단한 것들이 많습니다.
이건 어떠신지?

“어리석은 자는 수치스러운 일을 할 때에도 그것이 언제나 그의 의무라고 선포한다.

국민을 위한 의무로 인해 그 부름에 어쩔 수 없이 나섰다는 수많은 정치인들의 행보와 오버랩됩니다.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직면의 어려움

분류 : Ethos > Objective

What is ETHOS?

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

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

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오늘 어떤 상담을 하고 나서>


변호사가 해야 하는 일 중의 하나가, '안개 자욱한 상황에서 안개를 걷어내고 현재를 정확히 직면하게 해 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무리 객관적이 되려해도 본인은 본인에게 유리한 식으로 판단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기대도 쉽게 저버리지 못하기 때문에 어떻게든 좋은 쪽으로 생각을 하려 하구요.

하지만 본인 스스로도 상황이 점점 안개속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설마 아닐거야...'

아까 상담을 하면서 적나라하게 그 분이 처한 상황에 대해 '살벌한' 말씀을 드리고 어떤 식으로 악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말씀드렸습니다. 

이 말이 그 분에게 먹힌 이유는 그 분 역시 막연하게나마 그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믿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 미적거렸던 것이지요.

그 분이 오늘 직면한 상황을 참고하여 앞으로의 리스크를 잘 헤쳐 나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