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내공매거진/협상 천재

가치기반 협상

조우성2 2025. 5. 17. 16:20

협상사례: 소프트웨어, 가치를 말하다

<요약>

* 인포그래픽

https://codepen.io/odpyjxhw-the-decoder/full/yyyryPQ

 

📌 소프트웨어 가치 협상 핵심 정리
🤖 AI 활용 협상 준비 (AI-Assisted Negotiation Prep):
AI(본문에서는 Gemini)를 활용하여 고객 데이터 분석, 예상 투자수익률(ROI) 계산, 맞춤형 제안의 사전 시뮬레이션 등 협상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합니다.

💰 가치 기반 설득 (Value-Based Persuasion):
단순히 제품의 기능이나 가격을 논하기보다, 해당 솔루션 도입 시 고객이 얻게 될 구체적인 경제적 이익(예: 연간 8억 원 추가 수익, ROI 400%)을 수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가격 저항을 낮추고 제안의 설득력을 높입니다.

🧩 유연한 패키징 (Flexible Packaging - Bundling/Unbundling):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 우선순위, 예산 제약에 맞춰 제품/서비스의 기능들을 여러 패키지(예: 기본, 비즈니스, 프리미엄)로 구성하거나, 특정 기능만 추가/제외하는 '언번들링'을 통해 맞춤형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 핵심 니즈 파악 (Identifying Core Needs via Strategic Questions):
"가장 개선하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가요?", "어떤 기능이 가장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하시나요?"와 같은 개방형 질문을 통해 고객이 당면한 진짜 문제(Pain Point)와 실질적인 우선순위를 정확히 파악합니다.

💡 실용적 프롬프트 활용 (Practical Prompt Utilization):
가격 반대 극복, 맞춤형 제안 구성 등 협상 과정에서 마주하는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 대해 AI에게 효과적으로 질문하고 해결책을 얻을 수 있는 프롬프트 작성법을 익히고 활용하여 협상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실천 Point: AI와 같은 도구를 적극 활용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를 철저히 정량화하고, 전략적 질문을 통해 고객의 숨겨진 핵심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여 상호 이익이 되는 맞춤형 솔루션을 창의적으로 제시하세요.

<본문>

AI 고객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 '데이터마인드'의 김도윤 대표는 첫 대형 고객 '블루스타 쇼핑'과의 계약 난항에 고심했습니다. 6개월간 개발한 상용 버전의 시장 진입은 쉽지 않았죠.

"블루스타 측에서 또 메일이 왔어요." 공동 창업자 박서연이 말했습니다. "기본 패키지 30% 할인, 맞춤형 대시보드 추가, 유지보수 비용 인하를 요청했네요." 도윤은 "그 조건으론 개발 비용도 못 건져요. 적자입니다."라며 난색을 표했습니다.

서연은 "Gemini에게 협상 전략을 물어볼까요? 지난번 투자자 미팅 때처럼요."라고 제안했습니다. 도윤은 동의하며 Gemini에 상세 프롬프트를 입력했습니다:
"B2B 소프트웨어 판매 협상입니다. AI 기반 고객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으로, 대형 온라인 쇼핑몰과 첫 계약 추진 중입니다. 고객사가 가격 30% 할인, 추가 기능, 유지보수비 인하를 요구해 난항입니다. 가격 인하 압박을 극복하고 상호 이익 계약을 위한 효과적인 협상 전략과 구체적인 대화 예시를 제공해주세요."

Gemini는 '가치 기반 협상'을 제안하며, 고객사 데이터 기반 ROI 계산 및 제시를 조언했습니다. 즉,
#1 고객 데이터 요청,
#2 솔루션 적용 시 개선 지표 예측 모델 구축,
#3 재무적 영향 수치화였습니다.

도윤은 두 번째 프롬프트를 입력했습니다:
"고객사가 모든 기능을 원하면서 낮은 가격을 요구할 때, 패키지를 어떻게 재구성하면 좋을까요? 완성된 소프트웨어 기능 분할/조합 전략이 필요합니다."

Gemini는 '번들링/언번들링'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1 기능을 '기본', '비즈니스', '프리미엄' 세 패키지로 재구성,
#2 각 패키지 기능과 가격 명시,
#3 고객의 핵심 지표, 시급한 기능, 단기/중장기 필요 기능에 대한 질문,
#4 답변 기반 맞춤형 패키지 제안이었습니다.

도윤과 서연은 Gemini의 조언대로 블루스타 데이터 분석, ROI 모델 구축, 소프트웨어 패키지 재구성을 마쳤습니다.

이틀 후, 블루스타 쇼핑의 마케팅 이사 정민우와 IT 책임자 이지현과의 미팅. 도윤은 "새로운 제안입니다. 먼저 블루스타의 현재 데이터 분석 결과입니다."라며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블루스타의 고객 이탈률이 업계 평균보다 3.2% 높고, 재구매율이 5.7% 낮음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데이터마인드 소프트웨어 사용 시 첫해 고객 이탈률 2% 감소, 재구매율 4% 증가 예측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연간 약 8억 원의 추가 수익이며, 저희 소프트웨어 도입 비용 2억 원 대비 투자수익률은 400%입니다." 민우와 지현은 깊은 인상을 받은 듯했습니다.

서연은 "솔루션을 세 가지 패키지로 재구성했습니다."라며 '기본'(핵심 분석), '비즈니스'(맞춤형 대시보드), '프리미엄'(실시간 분석, AI 예측) 패키지를 설명했습니다. 도윤이 물었습니다. "가장 개선하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가요? 어떤 기능이 가장 큰 가치를 제공할 것 같으신지요?"

민우가 답했습니다. "고객 이탈 방지가 최우선입니다. 맞춤형 대시보드는 당장 필요 없지만, 실시간 데이터 분석은 꼭 필요해요." 도윤은 협상의 돌파구를 찾았습니다. "그렇다면 기본 패키지에 실시간 분석 모듈만 추가한 맞춤 패키지를 제안합니다. 프리미엄 패키지보다 25% 저렴합니다."

90분간의 회의 끝에 블루스타는 맞춤 패키지를 1년 계약으로 도입하고, 6개월 후 성과 평가를 통해 추가 기능 도입을 논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사무실로 돌아온 도윤과 서연은 웃었습니다. 서연은 "Gemini 조언이 효과적이었어요. 가치를 수치로 보여주니 협상 분위기가 바뀌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도윤은 "고객이 정말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한 게 중요했어요. 번들링/언번들링 전략 덕분에 윈-윈 지점을 찾았습니다."

이 첫 대형 계약은 데이터마인드의 시장 진출 발판이 되었습니다. 도윤은 협상이 단순한 가격 다툼이 아닌, 서로의 필요와 가치를 발견하고 창의적 해결책을 찾는 과정임을 깨달았습니다.

🎯 본건 협상상황에서 결정적인 장면 3가지 🎯


🌟 장면 1: Gemini를 활용한 사전 전략 수립
블루스타의 초기 제안(30% 할인 등)에 막막함을 느꼈을 때, Gemini에 구체적인 상황을 입력하고 '가치 기반 협상'과 '번들링/언번들링'이라는 핵심 전략을 얻었습니다. 이는 협상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준비를 가능하게 한 첫 번째 결정적 장면입니다.

중요 이유: 감정적 대응이나 단순 가격 수용 대신, 데이터와 논리에 기반한 체계적인 협상 준비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AI의 조언을 통해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법을 채택할 수 있었습니다.

🔑 장면 2: ROI 제시를 통한 가치 증명
블루스타와의 미팅에서 데이터마인드 소프트웨어 도입 시 연간 8억 원의 추가 수익(ROI 400%)이라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장면입니다.

중요 이유: 고객의 가격 저항을 '가치'로 정면 돌파했습니다. 단순 기능 설명이 아닌, 고객사의 실질적인 이익을 수치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제품의 필요성과 투자 당위성을 강력하게 어필했고, 협상의 주도권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장면 3: 고객의 핵심 니즈 파악 후 맞춤형 패키지 제안
"가장 개선하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블루스타 측이 "고객 이탈 방지가 최우선... 실시간 데이터 분석은 꼭 필요해요."라고 답한 순간, 이를 바탕으로 '기본 패키지 + 실시간 분석 모듈'이라는 맞춤형 솔루션을 즉시 제안한 장면입니다.

중요 이유: 미리 준비한 패키지 옵션에 더해, 고객의 구체적인 답변을 통해 숨겨진 핵심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유연하게 솔루션을 재구성하여 제안함으로써 고객 만족과 계약 성사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습니다. 이는 '번들링/언번들링' 전략의 성공적인 적용 사례입니다.

 


🛠️ 활용된 협상기법 정리 🛠️


📈 가치 기반 협상 (Value-Based Negotiation)

핵심 원리: 가격이 아닌 제품/서비스가 제공하는 구체적인 가치(ROI 등)에 초점.
적용 방법: 고객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 도입 시 예상되는 재무적 이익을 수치화하여 제시.
💬 효과적인 프롬프트 예시: "B2B 협상에서 우리 제품의 가치를 고객사 입장에서 어떻게 수치화하여 설득력 있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고객사의 어떤 데이터를 요청하고, 어떤 방식으로 ROI를 계산하여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 번들링과 언번들링 (Bundling/Unbundling)

핵심 원리: 제품/서비스의 기능을 다양하게 묶거나 분리하여 고객의 다양한 요구와 예산에 맞는 유연한 제안.
적용 방법: 기능별 패키지(기본, 고급 등)를 재구성하고, 고객의 핵심 니즈에 맞춰 특정 기능만 추가/제외한 맞춤형 솔루션 제안.
💬 효과적인 프롬프트 예시: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과 예산 제약을 고려할 때, 우리 제품/서비스를 어떻게 여러 패키지로 구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을 구분하고, 고객 선택지를 넓힐 수 있는 조합 전략을 알려주세요."


🗣️ 전략적 질문 기법

핵심 원리: 개방형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진짜 니즈, 우선순위, 문제점(Pain Point)을 파악.
적용 방법: "가장 개선하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가요?", "어떤 기능이 귀사에 가장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하시나요?", "현재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요?" 등의 질문 활용.
💬 효과적인 프롬프트 예시: "B2B 영업 협상 시 고객의 숨겨진 니즈와 우선순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효과적인 질문 5가지를 추천해주고, 각 질문의 의도와 기대효과를 설명해주세요."


📝 꿀팁처럼 쓸 수 있는 프롬프트 예제 📝


✨ 꿀팁 A) 가격 반대 극복 및 가치 제안 프롬프트:
"잠재 고객이 우리 [제품/서비스명]의 가격이 [경쟁사 제품 또는 현재 해결 방식]에 비해 비싸다고 지적합니다. 우리 [제품/서비스명]이 제공하는 [핵심 가치 1], [핵심 가치 2], [차별점]을 강조하여 가격 저항을 줄이고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는 설득 논리와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3가지를 제안해주세요. 특히 고객의 [특정 우려 사항 또는 상황]을 고려한 답변이면 좋겠습니다."

💡 꿀팁 B) 맞춤형 제안 및 패키징 전략 프롬프트:

"우리 회사는 [제품/서비스 유형]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기능은 [기능 A], [기능 B], [기능 C], [부가 기능 X], [부가 기능 Y]입니다. 다양한 예산과 요구를 가진 고객들을 위해 이 기능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매력적인 3가지 등급의 패키지(예: 기본형, 전문가형, 프리미엄형)로 구성할 수 있을까요? 각 패키지의 주요 타겟 고객과 가격 책정 전략에 대한 아이디어도 포함해주세요."

 

"
DM

데이터마인드의 첫 대형 계약 성공:
AI 협상 전략의 힘

Gemini AI로 가치 중심 협상의 승리

 

⚠️도전 과제: 대형 고객의 까다로운 요구

AI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데이터마인드'는 첫 대형 고객 '블루스타 쇼핑'과의 계약에 난항을 겪었습니다.

  • 고객 요구: 30% 가격 할인, 추가 기능 탑재, 유지보수 비용 인하
  • 데이터마인드 문제: 제시된 조건 수락 시 개발비 회수 불가, 적자 운영 우려
  • 상황: 시장 초기 진입 단계에서의 중요한 계약 건
블루스타 현황: 고객 이탈률 3.2%p 업계평균 대비 높음, 재구매율 5.7%p 낮음

💡솔루션: Gemini AI의 전략적 접근

Gemini AI를 활용하여 '가치 기반 협상'과 '번들링/언번들링'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1. 가치 기반 협상: ROI 수치화

고객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도입 시 예상되는 투자수익률(ROI)을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했습니다.

  • 예측: 고객 이탈률 2% 감소, 재구매율 4% 증가
  • 결과: 연간 약 8억 원 추가 수익 발생 기대
소프트웨어 비용 2억 원 대비 ROI 400%

2. 번들링/언번들링: 패키지 재구성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기능을 세분화하고 패키지를 재구성했습니다.

기본 패키지
비즈니스 패키지
프리미엄 패키지

이후 고객의 핵심 니즈에 맞춰 맞춤형 패키지를 제안했습니다.

3. 전략적 질문: 핵심 니즈 파악

개방형 질문을 통해 고객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우선순위를 파악했습니다.

""가장 개선하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가요?""
➡️ 블루스타 답변: ""고객 이탈 방지가 최우선, 실시간 데이터 분석은 꼭 필요해요.""

🤝성과: 맞춤 패키지로 계약 체결

블루스타 쇼핑과의 미팅에서 데이터 기반의 가치 제안이 주효했습니다.

  • 미팅 하이라이트:
    • 블루스타 현재 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 (이탈률, 재구매율 약점 지적)
    • 데이터마인드 솔루션 도입 시 ROI 400% (연 8억 수익) 제시
    • 고객 니즈에 맞춘 '기본 패키지 + 실시간 분석 모듈' 특별 제안
  • 최종 계약: 1년 단위 맞춤형 패키지 도입
  • 추가 합의: 6개월 후 성과 평가를 통해 추가 기능 도입 논의
최종 제안:
기본 패키지 + 실시간 분석 모듈
(프리미엄 대비 25% 저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