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 2

[BL] 거짓말과 목의 상관관계

거짓말과 목의 상관관계 ° 바디랭귀지 전문가들은 ‘거짓말이 의심된다면 상대방의 목을 보라’라고 조언한다. ° 바디랭귀지를 연구하면 변연계 반응이 표출되는 때를 발견하게 되는데, 특히 부정적이거나 위협적인 경험을 진정시키는 행동이 뒤따라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흔히 ‘적응자(adapters)'로 불리는 이런 행동은 뭔가 불쾌하거나 귀찮은 것을 경험한 뒤에 우리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 뇌가 우리를 정상 상태로 복구하려 시도할 때, 즉 편안하게 해주려(진정시키려) 할 때에는 몸의 협조를 얻는다. 이것은 즉각 읽을 수 있는 외적인 신호이므로 상황을 통해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다. ° 이처럼 진정시키는 행동은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독특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와 개는 진정시키기 위해 자기 스스..

변호사 사건 상담시 상대방의 interest를 고려하는 응대법

후배 변호사들에게 자주 하는 잔소리 중의 하나입니다. 의뢰인이 최초 방문해서 상담을 할 때는 반드시 의뢰인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interest)을 정확히 언급해 주라는 것입니다. 하고 싶은 말만 하지 말고, 의뢰인이 듣고 싶은 말을 해 주라는 것입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의뢰인들에게 반드시 해 주어야 할 포인트는 다음 세가지입니다. 첫째, 사건의 승패 전망 통상 변호사들은 승패 전망에 대해서 대단히 모호한 설명을 하지만 저는 가능하면 현 상황에서 나타난 자료만에 근거한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서, 최대한 명확하게 승패에 대한 예상을 해 드리려고 합니다. 어떤변호사들은 "그런 식으로 말했다가 나중에 책잡히면 어쩌려고 그러노."라고 하지만 적어도 최초 상담 단계에서 사건의 승패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해 ..

협상/interest 201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