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링 5

미러링의 막강한 힘 - 뱀의 뇌에게 말걸지 말라

'뱀의 뇌에게 말을 걸지 말라' 중 '미러링 사례' ** 저자가 경험한 사례 ** 상담이 시작되자, 잭(환자)이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분명히 해둘 게 있어요. 우리 집 위층에 사는 사람들이 매일 밤새도록 소란을 피워서, 내가 아주 미칠지경입니다." 그 말을 하는 그의 얼굴은 괴상하게 일그러진 미소를 하고 있았다. "짜증이 많이 나시겠네요." 내가 공감을 표하며 대답했다.잭은 마치 나를 함정에 빠뜨려 통쾌하다는 듯 짖궂게 웃으며 말했다. "아, 깜빡하고 말을 안했네요. 우리 집은 맨꼭대기에 있고 옥상으로 통하는 문도 없어요."그는 능글맞은 웃음을 띠고 나를 바라보았다. 청중에게서 뭔가 반응을 원하는 희극배우 같은 익살스러운 표정이었다. 나는 혼자 생각했다. 이 상황에서 '그래서요?'..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mirroring 2)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mirroring 2)분류 : Ethos > EmpathyWhat is ETHOS?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 대상서적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조 내버로 저) 34면 ● 인용문 :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1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이 개념은 저..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상대방의 말을 따라한다는 것(verbal mirroring)

조우성변호사의 에토스이야기 : 상대방의 말을 따라한다는 것(verbal mirroring)분류 : Ethos > EmpathyWhat is ETHOS?매력있는 사람, 존경받는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Ethos가 있다고 생각됩니다.저는 Ethos의 구성요소를 머릿글자를 따서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1) E - Empathy(공감능력) 2) TH - Thoughtful (사려깊은, 지혜로운)3) O - Objective (객관적인, 냉철한, 목표지향적인)4) S - Self Improvement (자기계발) ● 대상서적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조 내버로 저) 34면 ● 인용문 :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2) #1현재 50대가 된 내 또래들은 자라는 동안..

조우성 변호사의 책건문(책에서 건진 문장)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중에서 -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조우성 변호사의 책건문(책에서 건진 문장)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중에서 -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 대상서적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조 내버로 저) 34면 ● 인용문 :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2) #1 현재 50대가 된 내 또래들은 자라는 동안 ‘issue(문제)’라는 말보다 ‘problem’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했다. 그래서 나는 누군가가 “여기 무슨 문제(issue)라도 있어?”라고 물으면 ‘problem’이라는 말을 썼을 때보다 마음에 와닿는 느낌이 훨씬 덜하다. issue라는 말에는 그다지 마음이 끌리지 않는 것이다. #2 비즈니스맨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하다 보면 고객이 선호하는 언어를 따라하지 않는 이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 이들은..

지식창고/Book 2012.04.25

조우성 변호사의 책건문(책에서 건진 문장)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중에서(미러링)

조우성 변호사의 책건문(책에서 건진 문장)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중에서(미러링) ● 대상서적 : 우리는 어떻게 설득당하는가 (조 내버로 저) 34면 ● 인용문 :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1 말 따라하기(verbal mirroring), 이 개념은 저명한 심리학자이자 저술가인 칼 로저스(Carl Rogers, 1902~1987)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말 따라하기는 간단하지만 짧은 기간에 상대방과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기법이다. FBI 시절 나는 이것이 공감 있는 의사소통 채널을 확립하는 데 엄청난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2 로저스는 환자가 하는 말을 듣고 환자가 말한 그대로 대답하는 간단한 방식을 취했다. 예를 들어 환자가 ‘my home’이라고 하면..

지식창고/Book 201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