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점 2

조우성 변호사의 Sports Insight : 강점에 집중하고 약점은 적절한 수준에서 보완하라

조우성 변호사의 Sports Insight 강점에 집중하고 약점은 적절한 수준에서 보완하라 세계적인 스포츠 매니지먼트 회사인 IMG의 설립자이자 뛰어난 컨설턴트인 마크 맥코맥은 자신의 저서 "하버드 MBA에서도 가르쳐 주지 않는 것들"이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미국의 중위권 프로테니스 선수가 대학에서 하는 경기와 프로 리그에서 하는 경기의 차이점을 비교해서 말한 적이 있다. 그가 말한 요지는 대학에서는 기술을 어느 정도 습득하고 다른 선수의 약점을 파악하면 웬만큼 승리할 수 있지만, 프로세계에서는 자신의 약점보다 강점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세계적인 테니스 스타였던 비요른 보그가 주요 테니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기 시작했을 때 그가 지닌 몇 가지 강점이 드러났다. 그의 그..

협상삼국지 : 약점을 강점으로 승화시킨 사례 - Re-Framing

코로나 맥주가 북미 시장에 진출한 건 1980년대 말. 막강한 잠재 경쟁자의 출현으로 당시 미국 업체들은 코로나의 행보를 예의 주시했다. 그 와중에 330ml짜리 유리병에 담긴 코로나 맥주의 양이 병마다 제각각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기존 미국의 맥주 업체인 버드와이저는 이 틈을 놓칠세라 “맥주 양 하나 못 맞추는 코로나는 전혀 위협거리가 되지 못한다”며 비아냥거렸습니다. 버드와이저의 비난은 흔히 사람들이 멕시코 하면 머릿속에 떠올리는 부정적 연상들, 즉 나태함, 게으름, 무절제, 마약, 공해 등의 이미지에 다분히 기댄 측면이 있다. 나태하고 게으르며 절도(節度)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멕시코 회사니 어쩔 수 없다라든가 맥주의 기본인 제조기술부터 형편없다며 대놓고 비방한 것이다. 아마도 버드와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