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2

조우성 변호사의 Sports Insight : 패배를 대하는 자세

조우성 변호사의 Sports Insight 1. 바둑을 두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만이 곧 패착'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스스로 교만할 줄 모르는 것이 자만의 포석이고, 아예 겸손한 척하는 것이 자만의 중반적이며, 심지어 자신이 겸손하다고 착각하는 것이 자만의 끝내기다. 그것이 내가 30년 가까이 반상을 마주하며 수없이 많은 실전에 임하면서 비로서 깨닫고, 가장 경계했던 부분이다. 2. 재능을 가진 상대를 넘어서는 방법은 노력뿐이다. 더 많이 집중하고 더 많이 생각하는 수밖에 없다. 바둑에는 '복기'라는 훌륭한 교사가 있다.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는 습관'을 만들어주고, 패배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는 준비'를 만들어준다. 3. 무릇 숭부에 임할 때는 자신을 다스려 최대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

조우성 변호사의 Sports Insight :바둑의 복기에서 배우는 인생살이의 교훈

조우성 변호사의 Sports Insight :바둑의 복기에서 배우는 인생살이의 교훈 '復棋(복기)' 뜻 : 바둑에서, 한 번 두고 난 바둑의 판국을 비평하기 위하여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아 봄. # 1 바둑두시는 분들은 대국이 끝난 다음 복기를 합니다. 자기가 두었던 수를 그대로 기억하고 다시 복기를 하는 겁니다. 바둑을 잘 모르는 저로서는 '그 많은 수를 어떻게 다 순서대로 기억할까?'라는 점이 내심 의문이었습니다. # 2 그런데 어느 분의 글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한 수 한 수 모두 고민을 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둔 경우에는 아주 쉽게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의미 없이 둔 수는, 기억이 거의 나지 않는다.' # 3 '한 수 한 수 의미를 부여하고 둔 경우에는 충분히 복기할 수 있다..